“이젠 더 이상 참을수 없다.” 곡소리 나는 국민 고통 수준?
우리나라 국민의 40%가 경제적 취약계층에 속한다고 하는데요 ,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약 24년 만에 6%대로 계속적으로 오르면서 하반기 ‘물가 쇼크’에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물가를 밀어 올리는 가장 큰 요인인 유가와 곡물 등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공공요금 상승, 휴가철 수요 증가 등 물가 상방 요인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일각에서는 물가상승률이 7~8%대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가는 실업률과 함께 경제고통지수를 구성할 만큼 서민들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 지표인데요,
정부는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비상경제민생회의를 개최하며 적극 대응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지만 지원 규모가 8000억원에 그치는 등 효과가 의문시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엄중한 물가여건이 지속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는 이야기와 유가 등 에너지발 공급 측 압력이 물가 상승을 계속해서 견인하고 있다고 지적을 하고있는 상황입니다.
미국과 유럽연합 등 주요국 물가가 40년 만에 고점 수준에 도달하는 등 대외 여건이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이 같은 공급 측 불안은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6.0%을 찍은 가장 큰 원인이 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석유류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9.6% 급등하였고 농축수산물도 4.8% 상승하였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라 생산비 등이 증가하면서 외식물가도 지난해 같은 달 대비 8.0% 올랐습니다.
문제는 물가 상승세의 정점을 예측하기 힘들다는 점인데요,


이달부터 전기요금은 4인 가구 기준 평균 월 1535원, 가스요금의 경우 가구당 월 2220원이 인상됐는데 또 10월에도 전기·가스요금의 동반 인상이 예정돼 있습니다.
공공요금이 전체 물가 상승률에 차지하는 비율이 높진 않지만 모든 상품, 서비스의 원재료인 만큼 물가에 미치는 영향 효과는 큽니다.

물가 충격은 취약계층에 더 큰 부담이 되는데요, 저소득층일수록 전체 지출에서 식료품 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입니다.
실제 지난 1분기 1분위 저소득층 가구의 식료품·외식·교통 지출 비중은 전체의 52.1%에 달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상위 10%인 5분위의 경우 전체의 18.8%에 그쳤으며 지난달 ‘장바구니 물가’라고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7.4% 올라 1998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겪는 고물가를 억제하기에는 정부 대책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가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 부담 경감 등을 추진하고 있는 것과 비교해보면 취약계층과 서민 생계비 지원 관련 재원 투자는 상대적으로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