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글능글하고 코믹한 변태스런 웃음을 가진 “국민변태” 배우?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변태’라는 말의 어감은 우리에게 그리 유쾌 하게 다가오지 않는 어감의 말인데요,
이런 기존의 관념들을 보란 듯이 깨는 인물이 바로 이름하여 ‘유희열’이라는 사람이 눈에 띈다.

자신이 변태적인 기질을 가진 사람이라 말하며, 그를 바라보는 이들도 변태적인 기질을 가진 사람이라고 말을 하고 정작 싫어하지 않으며 그 관념을 깬 이를 보며 열광을 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특이한 일이 아닐 수 없는데요,
연예인 중에서 변태적인 캐릭터를 가지고 웃길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하면 고작 몇 명 정도가 머리를 스쳐가는 정도입니다.


한 명이 ‘신동엽’ 정도가 될 테고, 나머지 한 명이 ‘유희열’이 될 것이다. 그 외에 만약 이런 변태적인 캐릭터를 가지고 웃기려고 한다면 지탄을 받을 것은 불 보듯 빤한 일입니다.
하지만 ‘변태’라는 말을 캐릭터로 가질 수 있는 사람은 그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며 만약 듣는다고 해도 장난의 말로 들을 수는 있겠지만, 온전히 그 뜻 그대로 안 좋은 의미로 그에게 말하는 사람은 없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신동엽은 시트콤에서 변태 연기를 자유자재로 가지고 놀며 자신의 이름을 한껏 올려놓는 기회로 삼았으며 이미지와 함께 여러 다재다능한 면을 보여주며 분명 남들과는 다른 영역의 안정된 인기를 얻었습니다.
기존에 ‘신동엽’이 만들어 놓았던 밉지 않고 웃긴 변태 캐릭터는 한 동안 물려받을 사람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그런 변태 캐릭터를 더욱 더 밉지 않게 흡수한 이가 있다면 바로 ‘유희열’인데요,
유희열은 자신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인 <유희열의 스케치북>을 통해서 이 캐릭터를 자유자재로 사용해 웃음을 주었습니다.

유희열의 능글능글하고 코믹한 변태스런 웃음에 길들여졌는지 많은 출연자들이 알아서 그의 말에 동화가 되어 아무렇지 않게 상황과 말을 주고받는 모습은 자리를 찾은 관중들의 웃음을 만들어 내는 촉매 역할을 단단히 하였습니다.
‘유희열’이 구사하는 변태 개그는 사실 그가 일부러 만들어 낸 것이 아닌 소통에서 생긴 보너스 품이라 해야 할 것입니다.

“유희열의 스케치북” 프로그램에서 한승연을 유심히 보는 모습이 왠지 변태스럽게 보이지만 그 모습이 웃기는 상황이 생기면서 시청자들이 그런 모습들을 ‘매의 눈’이라고 표현을 하며 한바탕 웃을 수 있던 시작은 그를 자연스레 밉지 않은 변태 세계로 연결하는 가교가 되어 주었습니다.
이런 캐릭터가 생긴 것은 어느 순간에 반짝하고 생긴 것이 아니라, 평소 그가 꾸준히 쌓아 놓은 이미지와 연결이 되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갑자기 생겼다고 생각하지만, 오랜 기간 진행해 오며 쌓아 놓은 이미지들이 그를 감성변태로 이끄는 계기가 되어준 것이라 해야 할 듯합니다.
변태캐릭터를 자유자재로 쓸 줄 아는 사람의 특징이라고 하면 자신이 어느 때 그 말을 써야 할지를 누구보다도 잘 안다는 것입니다.
‘유희열’과 ‘신동엽’의 공통점이라고 한다면 바로 이 캐릭터를 어느 때 써야 할지를 명확히 안다는 것입니다.
유희열의 스케치북’은 600회를 끝으로 13년 3개월 만에 막을 내렸습니다.

당시 “KBS 심야 음악프로그램 중 가장 긴 시간이었고 그동안 이 관객을 찾은 관객분들이 대략 49만명”이라며 “지난 걱정 근심 내려놓고 환한 얼굴과 힘찬 박수로 여러분이 주인공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그동안 보내주신 응원에 감사하다”고 전했습니다.